슬로우에이징 & 건강관리

[정선근] 허리디스크 재생, 정말 가능할까?|디스크 구성요소별 회복 가능성 분석

Slow Curator 2025. 7. 3. 09:00

허리디스크는 재생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시나요? 수핵, 섬유륜, 종판 각각의 재생 능력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, 수술 없이 운동과 자세 교정으로 통증을 극복한 실제 사례까지 소개합니다. 


🧬 디스크도 재생될 수 있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
많은 분들이 수술 이후에도 지속되는 허리 통증으로 고민하시지만, 실제로는 디스크의 특정 부위는 재생이 가능하며, 그 가능성은 우리가 하는 생활 습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 오늘은 디스크 구성 요소별 재생 능력과 실제 사례를 통해 회복 가능성을 과학적으로 살펴봅니다.

 

📌 해당 내용은 정선근 교수의 해설을 바탕으로 한 디스크 회복 관련 요약으로, 실제 사례와 과학적 데이터에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.

정선근교수님동영상 보러가기 클릭

 


🦴 디스크 3대 구성요소, 재생 가능성은?

1. 수핵(Nucleus Pulposus) – 가장 뛰어난 재생 능력

  • 디스크 중심의 젤 형태 조직
  • 세포 분열과 매트릭스 생성 능력이 뛰어나 회복력이 가장 높음
  • 줄기세포 치료, 운동요법 등 보존적 치료에 잘 반응
    ✔️ 운동과 자세 교정만으로도 통증 완화 및 회복 가능

2. 섬유륜(Annulus Fibrosus) – 느리지만 의미 있는 재생

  • 디스크 외부의 고리 형태 섬유조직
  • 세포 수는 적지만 콜라겐 생성을 통해 구조 복원에 도움
  • 회복되면 추가적인 디스크 탈출 방지 역할
    ✔️ 기계적 안정성을 유지하는 핵심 구조

3. 종판(Endplate) – 재생이 거의 어려운 부위

  • 척추뼈와 디스크를 잇는 연골판
  • 혈류 공급이 적고 세포 활동이 낮아 재생 거의 불가
  • 손상되면 구조 손상은 지속되나, 흉터 조직이 통증 완화에 기여
    ✔️ 종판 손상은 예방이 최선

🧍‍♂️ 사례: 수술 후 만성 통증 → 운동으로 극복한 40대 남성

▶️ 21세에 허리디스크 수술을 받은 47세 남성
▶️ 수술 후 만성 통증 지속
▶️ 그러나 걷기 운동, 바른 자세 유지만으로 통증 감소 및 MRI 상 디스크 재생 확인
✔️ 재생 가능성을 증명한 사례


📚 과학적 근거로 본 디스크 재생

  • 디스크 세포는 대사율이 매우 낮아 회복이 더딤
  • 그러나 **지속적인 자극(운동, 스트레칭 등)**은
    ▶️ 영양소 공급 증가
    ▶️ 세포 활성 촉진
    ▶️ 콜라겐 및 매트릭스 생성 도움

즉, “느리지만 가능한 회복”이 디스크 조직의 핵심 특성입니다.


💉 수술은 만능이 아니다! 재생의학의 필요성

  • 수술은 구조적 문제 해결에는 유리하지만
    통증 완화와 기능 회복에는 한계가 있음
  • 줄기세포 요법, 프롤로 주사, 운동 치료 등
    재생 의학 기반 보존 요법이 중요
  • 동물 실험에서도 종판의 회복 불가
    수핵·섬유륜의 재생 가능성 입증

🔍 핵심 요약

구성요소 재생 가능성  특징
수핵 매우 높음 🔥 세포 분열 활발, 줄기세포 치료 가능
섬유륜 중간 👌 콜라겐 생성, 구조적 안정성 제공
종판 매우 낮음 ⚠️ 흉터 조직 형성으로 통증만 완화 가능

✅ 마무리 한마디

허리디스크가 있다고 해서 반드시 수술이 답은 아닙니다.
지속적인 걷기, 바른 자세, 재생 의학적 접근을 통해
충분히 통증을 줄이고 디스크 회복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.
📌 “느리지만 가능한 재생”, 지금부터 실천해 보세요!